재학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19년 철학윤리학과 학회장을 맡고 있는 정재훈입니다.
다들 방학은 잘 보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제 곧 2학기 개강이 얼마 남지 않았고, 앞으로 시행될 계획들 중 하나인 스터디들의 소개와 인원 모집을 위해 이 글을 게시합니다.
1학년 혹은 저학년 기준으로 '글쓰기 기초' 스터디가 있습니다. 인문학 특히, 철학에 대해 심도있는 공부를 하기 위한 밑바탕은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할 줄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기본적인 능력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학회장을 맡고 있는 본인 조차도 아직까지 글쓰기는 많이 부족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아주 당연하게 요구되어지는 것이지만 역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서 얼마만큼 자각하고 있는지는, 내 생각을 글로 완벽히 표현하는 것과 내 글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완전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비로소 시작하는 단계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또한 앞으로 학과의 전공 수업들의 특성 상, 여러 철학적 논의들을 본인이 얼마만큼 이해했는가를 글로 쓰는 것이 평가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학과에서 4년을 보낸 선배의 입장에서 꼬옥~ 참여했으면 하는 스터디입니다.^^
글쓰기 스터디와 관련하여 이용훈 박사님의 글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철학적 글쓰기가 뭘까?
1. 철학이 뭐예요?
① 여러분 앞에 맛있는 음식이 있습니다. 맛도 향도 너무 좋습니다. 한참을 먹으니 이 음식에 관해 모든 것이 궁금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무엇이 궁금할까요?
② 여러분은 한창 이성에 호기심이 많을 나이입니다. 그래서 친구 소개로 만남의 자리에 갔습니다. 듣던 대로 너무 예쁩니다(or 잘 생겼습니다). 또 이 여자(or 남자)에 관해 모든 것이 궁금해집니다. 이제 여러분은 무엇이 궁금할까요?
사람들은 항상 겉만 보고 삽니다. 왜 그럴까요? 쉽게 셈할 수 있고 쉽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왜 셈하고 예측하느냐? 그건 빨리 판단할 수 있고, 빨리 결정할 수 있고, 빨리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사람의 성실성보다 출신 학교나 성적 내지 스펙을 보는 것은 이런 까닭 때문이죠. 하지만 철학은 한 사물의 겉이 아니라 속을 봅니다. 당연히 물음이 달라지겠죠. 눈에 보이지 않는 속, 내면, 본질, 가치에 관해 묻고 답하는 것, 이것이 바로 철학입니다. 그렇게 찾아낸 답을 글로 적으면 바로 철학적 글이 되는 거구요. |
2. 무얼 써야 해요?
여기 스타벅스 로고가 새겨진 커피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 커피를 보고 어떤 물음을 던지겠습니까? 어떤 생각이 드나요?
㉠ 우리는 왜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는가?
㉡ 왜 가난한 사람들은 이 커피를 마실 수 없는가?
㉢
3. 어떻게 써야 해요?
어렵고 전문적인 글을 많이 읽고 쓰는 사람은 유식해 보일지 모르지만 그들은 어렵고 전문적인 생각밖에 못합니다. 아무리 맑고 깨끗한 생각을 해도 글로 쓸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들이 쓰는 글은 어렵고 전문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맑고 깨끗하고 쉬운 생각을 어렵게 만듭니다. “주체적 입장에서 보면” 이나 “모든 현존재는 실존의 다양한 층위를 가진다.” 혹은 “인간은 본래적 고독을 지닌 존재이다.”처럼 뜻 모를 글로 써 넣고 자기도 알지 못하는 심오한 생각을 그 뒤에 집어넣습니다. 만일 글을 깨끗이 쓴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생각도 깨끗하게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생각할 때”나 “사람들은 저마다 다르게 살아간다.” 혹은 “사람은 원래 고독하다.” 글을 쉽고 깨끗하게 쓰는 버릇하면 생각도 깨끗해지고 구체적으로 바뀌죠.
대화를 통해 의견 일치를 이루면 정당한 이해가 된다. → 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를 이해하려 애쓴다면 우리는 좀 더 나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위 인용글은, 실제로 본인이 수업에서 들었던 내용이고, 스터디를 진행해주시는 대학원 선배님도 같은 선배님입니다.
글쓰기 스터디라고 해서 "글 무조건 써 와!!" 와 같은 분위기는 절대로 아닐 것이며, 수업의 가장 큰 목표는 '내 생각을 내 글로 표현하기' 이니 많은 학우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스터디 분위기가 어떨 것인지에 대한 참고 문서를 첨부할테니, 확인 부탁 드리고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